건강과 . 상식 알고 배우기

[스크랩] 퇴계이황 선생님의 활인심방 체조로 건강지키기

단초화 2015. 12. 7. 12:2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ovseed&logNo=90186280948

 

1) 고치집신(叩齒集神): 양다리를 책상다리로 꼬고 앉아서 눈을 감고 마음을 가라앉힌다. 정신을 집중하여 아래윗니를 딱딱 부딪치기를 36회 반복한다.

두손을 목덜미 뒤로 깍지끼고 조용히 숨소리가 들리지 않게 아홉번 숨을 들이쉬고 내쉰다. 그런 다음 두 팔꿈치를 앞으로 하여 천천히 당겨 팔목이 턱에 닿게 한 다음 두 손으로 양쪽 귀를 덮고 집게손가락을 가운데 손가락에 겹쳤다가 미끄러뜨리며 뒤통수를 탁탁 퉁기는데 좌우 각각 24회씩 반복한다.

 

2) 수악천주(手握天柱): 왼손으로 오른쪽 손목 안쪽에 있는 천주혈을 잡고 고개는 왼쪽 방향으로 돌리고 오른팔과 어깨를 24회 흔든다. 오른 손으로 같은 동작을 스물 네 번씩 한다.

 

3) 설교행화(舌攪行火): 입안에서 혀를 골고루 휘저어 이의 구석구석을 닦아내듯 36번 돌리서 생긴 침을 세 번에 나누어 삼킨다. 침(액)은 용(龍)이고 기(氣)는 호(虎)이다.

이어서 코로 맑은 기를 들이마신 후 호흡을 잠시 쉬었다가 두 손으로 콧등과 얼굴을 문질러 따뜻하게 하고 천천히 기를 내보낸다. 양손을 주먹쥐고 위로 뻗쳐 올렸다 굽혀 내렸다를 반복한다.

 

4) 마신당(摩腎堂): 두 손을 돌려 허리 뒤의 신장 부위를 서른여섯 번 문질러 준다. 손을 모아 앞가슴의 심장주변을 마찰한다. 두 손을 모아 붙잡고 숨을 한번 들이마신후 입과 코의 호흡을 멈추고 심장의 따뜻한 기운을 배꼽아래 단전(丹田)쪽으로 내려 보낸다. 반복하여 따뜻해지면 코로 숨을 천천히 마셔 새로운 기를 받아들여서 한참 멈춘 후 기를 단전에 보낸다

 

5) 단관록노전 (單關轆轤轉) : 자리에 앉아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한 손을 주먹쥐어 허리 뒤에 대고 어깨를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36번 회전한다. 팔을 바꾸어 다시 36번 한 뒤 코로 숨을 들이 마셔 잠시 멈추고 단전에 기를 보낸다.

 

6) 쌍관록노전 (雙關轆轤轉) : 두 손을 모두 주먹쥐어 허리 뒤에 대고 어깨를 36번 회전시키고 단전으로부터 기가 척추를 거쳐 머리에 오르게 한다. 맑은 공기를 들이 마셔 잠시 멈춘후 내보내고 두 다리를 쭉 뻗는다.

 

7) 양수탁정 (兩手托頂) : 두 손을 깍지끼고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게 하여 밀어 올린다. 3회 내지 9회 반복한다.

 

8) 저두반족 (低頭攀足) : 자리에 앉아 두 다리를 뻗치고 두 손으로 발바닥 중심부를 감싸듯이 잡고 숨을 들여 마시면서 발을 잡아당기며 머리와 가슴을 앞으로 굽힌다. 허리를 펴면서 숨을 내쉰다. 이 동작을 13번 한다. 다리를 굽혀모우고 단정히 앉는다. 끝으로 입을 다문채 혀를 저어 침을 만든 뒤 세 번에 나누어 천천히 삼켜 마무리 한다.

 

1단금 어깨운동/2단금 목운동/3단금 옆구리운동/4단금 등운동/5단금 몸통운동/

6단금 격추운동/7단금 엉덩이,대퇴이두운동/8단금 발목운동/9단금 기공안마
10단금 숨고르기


출처 : 장두석의 생명살림
글쓴이 : 솔방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