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차와 약초 효능

지황의 효능

단초화 2015. 6. 2. 11:08

지황의 효능

▶ 혈당 강하 작용, 순환기계통에 작용하여 강심 및 이뇨작용, 간 기능 보호 작용, 항균 작용, 소갈증, 토혈, 비혈, 자궁출혈, 월경 불순, 태동불안, 음이 손상되어 생긴 변비, 류마티스성 및 류마티성 관절염, 습진, 두드러기, 신경성 피부염 및 피부병, 중풍으로 팔다리에 경련이 일 때, 늘 배고픔을 느끼며 권태롭고 누우려고 하는 증상, 가슴이 갑갑하고 딴딴한 증상, 발바닥이 열이 나고 아픈 증상, 눕기를 좋아하는 증상, 손 바닥이 열리 나고 아픈 것, 속이 쓰리고 아픈 증상, 산후복통을 치료하는 지황

 

지황의 신선한 뿌리줄기를 선지황(鮮地黃), 찐 뿌리줄기를 숙지황(熟地黃), 잎을 지황엽(地黃葉), 꽃을 지황화(地黃花), 종자를 지황실(地黃實)이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약리작용]

 

1, 혈당에 대한 영향

이전에 지황(품종은 분명하지 않음)의 전제, 침제 혹은 알코올 엑스를 rabbit의 위에 주입하거나 주사하면 혈당을 내리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지만 현재는 이것이 부정되고 있다. 그 후 팔미지황탕(八味地黃湯)에는 alloxan에 의한 실험성 고혈당 mouse에 대하여 혈당을 내리게 하는 작용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2, 순환계통에 대한 작용

지황 엑스를 rabbit와 개에게 정맥주사한 경우에 혈압을 높이며 동시에 이뇨작용이 있다. 중농도의 알코올 엑스는 적출한 개구리의 심장에 대하여 강심작용이 있고, 고농도에서는 억제 작용을 한다. 두꺼비의 뒷다리에 관류(灌流)하면 중농도에서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고농도에서는 혈관을 확장한다.

 

회경지황(懷慶地黃: Rehmannia glutinosa Libosch. f. hueichingensis (Chao et Schih) Hsiao)에서 얻은 알코올 추출액을 마취한 개와 rabbit에 정맥 주사하면 혈압은 내려가며 적출한 개구리의 심장에서는 억제작용이 있다.

 

3, 간 기능 보호작용

지황(품종은 분명하지 않음)의 전제는 mouse의 실험적 사염화탄소 중독성간염에 대하여 간장을 보호하고, glycogen의 감소를 저지하는 작용이 있다. 알코올 추출액에서 얻은 무색 침상결정에는 rabbit에 대하여 혈액응고를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4, 항균작용

지황(품종은 분명하게 기재되지 않음)은 in vitro에서의 예시험에서 어떤 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그외에 육미지황복방(六味地黃複方)의 약리시험으로서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회산약(淮山藥), 목단피(木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을 8:4:4:3:3:3의 비율로 하여 전제를 만든다.

 

① 신성고혈압 rat의 신기능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Ⅰ13Ⅰ로 표기한 iotalamic acid sod. salt를 써서 신기능을 측정하고 신장을 결찰(結紮)하여 고혈압을 발생시켜 매일 전제(150%) 1.5g/kg을 매주 6일 동안 경구투여시킨 결과 뚜렷한 혈압의 강하와 신기능의 개선이 보였으며 사망률은 감소되었다.

 

② 부신피질 기능에 대한 영향

부신중에 함유되어 있는 vitamin C의 양, 간장 내에 함유되어 있는 glycogen의 양(rat, mouse) 및 주위의 혈액중의 호산구의 수(mouse)를 지표로 하여 장기간에 걸쳐 다량으로 육미지황복방(六味地黃複方)을 투여했지만 확실한 영향은 없었다.

 

③ 교감신경계의 기능에 대한 작용

rat의 한냉승압반사, epirenamine의 승압반응 및 부신 중의 catecholamine의 양을 지표로 하여 육미지황복방(六味地黃複方)을 1~2주일간 투여했지만 뚜렷한 영향은 없었다. [중약대사전]

 

[배합 및 주의사항]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설사를 하는자, 위가 허하여 적게 먹는자, 가슴속에 담(痰)이 많은 자는 복용에 주의한다.

 

1, <뇌공포구론>: "구리나 쇠그릇에 접촉하여서는 안된다. 또한 사람의 신장을 약해지게 하고 수염, 머리카락을 희게 하며 영위(榮衛)를 손상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맥문동, 청주(淸酒)와 배합하여 먹는 것이 좋다. 패모(貝母)와 상오(相惡)한다. 무이(蕪荑)와는 상외(相畏)한다."

3, <본초품회정요>: "나포(蘿葡), 총백(蔥白), 구백(韭白), 해백(薤白)을 꺼린다."

4, <의학입문>: "중한(中寒)에 비(痞)가 있고 설사를 쉽게 하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

 

사람이 살아가려면 기와 혈이 있어야 하는데 기를 보하는 데는 인삼이 주약이 되고 황기와 백출이 보조약이 되며 혈을 보하는 데는 숙지황이 주약이 되고 천궁과 당귀가 보조약으로 된다. 인삼과 숙지황은 기혈을 보하는 데 반드시 있어야 할 약이다.

달고운술님글 스크랩

'산야초차와 약초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동초 약재로 사용한 전설  (0) 2015.06.09
증상별약초찾기....기관지에좋은약초   (0) 2015.06.04
지황 어떻게 먹을까  (0) 2015.06.02
뽕잎의 효능  (0) 2015.06.01
뽕잎차  (0) 2015.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