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mphony No.2 in D major, Op.73
브람스 / 교향곡 2번 D장조, Op.73
Johannes Brahms (1833-1897)
Sergiu Celibidache, cond.
Stuttgart Radio Symphony Orchestra
전악장 이어 듣기
Claudio Abbado, cond.
Berliner Philharmoniker
브람스의 '교향곡 2번'은 '교향곡 1번' 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우선 [교향곡 1번]에 있는 복잡함과 큰 규모는 찾아볼 수 없다. [교향곡 2번]에는 밝고 아름다운 페르차하와 조용하고 온화한 빈 근교의 리히덴탈에서 보낸 브람스의 여유로운 생활이 묻어난다.
[교향곡 1번]에서 표방했던 ‘암흑에서 광명으로’나 ‘고뇌 뒤의 환희’같은 전체 곡상의 추이를 2번에서는 분명히 내세우지 않았다. 부드럽고 온화한 인간적인 따스함과 즐거움 그리고 눈부신 자연의 밝은 숨결 때문에 이 곡을 두고 <브람스의 전원 교향곡>이라 부르기도 한다.
낭만주의 음악에서 자연을 상징하는 요소들인 호른 소리, 새 소리와 같은 플루트나 클라리넷 음이 풍성한 화음 속에 나타난다. 브람스의 친구인 외과의사 테오도르 빌로트는 이 곡을 듣고 브람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행복하고 즐거운 분위기가 작품 전체에 넘치고 있네. 그대의 완벽주의가 나타나 있고, 맑은 생각과 따스한 감정이 무리 없이 흐르고 있었지. 페르차하는 정말 아름다운 곳이지."
브람스가 휴양지 페르차하에서 작곡한 곡으로는 '바이올린 협주곡', '바이올린 소나타 1번' 등이 있는데, 두 곡 모두 '교향곡 2번'과 유사한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게다가 '바이올린 협주곡'은 '교향곡 2번'의 마지막 악장에 사용하려고 했던 주제를 재료로 활용해 작곡했다. (출처: 웹사이트)
Kurt Sanderling, cond.
Berliner Sinfonie Orchester
David Oistrakh, Violin
Otto Klemperer, cond.
Orchestre National de la Radiodiffusion Francaise
전악장 이어듣기
I. Allegro Non Troppo
II. Adagio
III. Allegro Giocoso, Ma Non Troppo Vivace
서재에서 작품을 구상중인 브람스의 모습
브람스 ,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작곡 : 1878년, 초연 : 1879년 1월1일, 라이프치히
(바이올린 ; 요아힘, 지휘 : 브람스)
'룰루랄라 음악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콤한 연가 모음 (0) | 2015.03.16 |
---|---|
책갈피속 그리운 노래들 (0) | 2015.03.06 |
베토벤 /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봄’-스크랩 (0) | 2015.02.26 |
선율이 아름다운 연주곡 모음 -스크랩 (0) | 2015.02.21 |
루치오 달라//'카루소' Caruso - Filippa Giordano-스크랩 (0) | 201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