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비타민 듬뿍담은 약선음식 ‘냉이나물’
냉이는 신선한 봄바람 타고 날아와서 몸의 깊은 활력을 주는 봄 선물의 대표주자로 영양과 맛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봄의
보양식이다.
냉이는「본초강목(本草綱目)」에 ‘왕성하고 풍성한 풀’이라는 뜻으로 ‘제(薺)’ 또는 ‘제채(薺菜)’라고 하였다.
냉이는 오래전부터 가난한 사람들의 식량으로 이용되었으며 맛이 부드러워 100살 먹은 노인도 냉잇국을 먹을 수 있어 냉이를 백세갱(百歲羹)이라 부르기도 했다. 중국의 시경에 인용될 정도로 식용의 역사가 긴 냉이는 봄의 춘곤증을 없애고 달아난 입맛을 찾는데 대표적인 봄 나물이다.
새봄의 기운이 서서히 밀려들기 시작하면, 동면상태에 있던 사람의 몸은 활동기에 들어가 신체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비타민이 필요하다. 그러나 겨울 동안 신선한 채소를 섭취할 기회가 적었으므로 갑자기 몸의 활동기인 봄이 되면 비타민 부족에서 오는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 몸이 나른해지고 졸음이 오고, 식욕이 떨어진다.
따라서 봄철에는 몸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비타민이 풍부한 냉이를 많이 섭취해야 한다.
냉이는 채소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은 것 중의 하나로 시금치의 2배 이상을 갖고 있으며, 칼슘과 철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봄이 되면 우리의 몸이 많은 비타민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냉이에는 비타민 A, B1, B2, C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냉이는 다른 봄나물 중 비타민 B1 이 제일 많아 피로회복에 좋고 춘곤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특히 냉이의 잎 속에 비타민 A가 매우 많아 눈 건강에 좋고, 냉이를 100g만 먹으면 성인이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 A의 3분의 1을 섭취하게 된다.「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냉이로 국을 끓여 먹으면 피를 간에 운반해 주고, 눈을 맑게 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냉이는 잠들어 있던 오장육부를 깨어나게 하고 춘곤증을 없애며 입맛 돋우는 봄나물로 소화기능을 증진시키며 눈을 밝게 하고 간을 튼튼하게 한다.
봄나물인 냉이는 이른 봄부터 저절로 자라난 것이 향이 좋고 맛이 있다. 냉이는 어리고 연하며 색이 짙은 것을 골라서
신선할 때 바로 요리하는 것이 비타민이나 무기질의 손실이 덜하다.
특히 냉이는 뿌리가 희고 길며 진초록에 조금 검붉은 빛은 띠는 것이 좋다. 냉이를 조리할 때는 찬물에 오래 씻으면 풋내가 나서 맛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어리고 부드러운 냉이를 살살 흔들어서 씻는 것이 좋다. 냉이는 날 것으로 생채로 무쳐도 맛있고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살짝 데쳐 양념장에 무쳐 먹기도 한다. 냉이는 푸른색 채소이므로 뚜껑을 열고 데쳐 물에 빨리 헹궈야 향긋하고 색이 좋다.
냉이는 된장 · 조개 · 콩가루와도 잘 어울려서 냉이를 날콩가루로 무친 뒤 쪄서 양념장에 찍어먹으면 향긋한 냉이 향과 고소한 맛을 함께 느낄 수 있다. 냉이는 비타민이 풍부한 봄철 보양식품이다.
천연비타민제 냉이를 먹으며 봄을 느끼고 영양을 충전해보자.
향긋하고 달콤한 냉이무침과 구수한 냉이토장국이 우리의 몸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어줄 것이다.
[네이버지식 백과 : 봄철 비타민 듬뿍담은 약선음식 냉이나물]
'산야초차와 약초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당귀, 왜당귀, 개당귀(지리강활), 바디나물의 비교 (0) | 2016.04.05 |
---|---|
마가목효능 (0) | 2016.04.04 |
봄나물 종류와 효능 (0) | 2016.03.24 |
햇갈리기쉬운 생강꽃과 산수유꽃의 차이점 배우기 (0) | 2016.03.15 |
콩 한쪽도 알고 먹어야 보약 (0) | 2016.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