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루랄라 음악방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

단초화 2014. 3. 10. 11:04

 

Beethoven, Piano Sonata No.14 'Moonlight'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Daniel Barenboim, piano

Staatsoper Berlin

2005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는 전부 36곡이나 되는데, 그는 생애를 통해 초기의 작품에서 만년의 작 품에 이르기까지 그때 그때의 피아노의 기능에 순응하여 최대한의 가능성을 보였다. 이 작품들은 그의 음악 생애를 세로로 잘라서 보았을 때 양식 적인 변화의 축도이기도 하다.

그의 소나타들이 오늘날까지도 피아노를 배우는 사람들 뿐 아니라 전문가들에 의해서도 많이 연주되는 것을 보면 그의 피아노 음악들의 중요성은 설명 안해도 될 듯 싶다. 이러한 그의 피아노 소나타들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제 14번은 흔히 ≪월광≫이라고 불려지는데, 이 곡만큼 많은 사연을 간직한 곡도 드물다. 베토벤이 눈 먼 처녀를 위해 달빛에 잠긴 채로 만들었다던가, 빈 교외에 있는 어떤 귀족의 저택에서 달빛에 감동되어 만들었다던가, 또는 연인에 대한 이별의 편지로 작곡한 곡이라든가 하는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베토벤 본인은 단지 '환상곡 풍의 소나타'라고 불렀을 뿐, ≪월광≫이란 이름은 비평가 렐슈타프가 이 작품의 제1악장이 스위스의 루체른 호반에 달빛이 물결에 흔들리는 조각배 같다고 비유 한데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이 작품의 특징은 제1악장이 자유로운 환상곡풍이고, 제3악장에서는 소나타 형식이라는 특이한 방식을 썼다는 점이다. 세도막 형식에 2/2박자, 환상적이며 단순한 제1악장은 아름다운 가락이 낭만성과 정열의 빛을 더하고 있다.

고요한 호수 위에 창백한 달빛이 반짝이는 것처럼 말이다. 스케르초 풍의 3/4박자 곡인 제2악장은 전원의 무곡으로서 유머러스하고 경쾌한 맛이 감돈다. 정 열과 원숙한 구성의 제3악장에서는 무겁게 떠도는 암흑 속에서 섬광을 일으키는 천둥과 번개처럼 격한 분위기가 힘차게 전개되어 당시 베토벤이 지니고 있던 청춘의 괴로움과 정열을 연상시킬 수 도 있다. 1801년에 완성이 된 이 곡은 줄리에타 귀차르디라는 아름다운 여성에게 바쳐졌다.

그녀는 베토벤에게 피아노를 배운 제자였는데, 두사람 사이에는 여러 가지 염문이 전해지고 있다. 아직까지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베토벤의 '영원한 여인'의 정체가 이 여성이라는 이야기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줄리에타는 이 곡이 완성될 때쯤 젊은 멋쟁이 백작과 결혼했다. 돈도 없고 신분도 낮고 더욱이 귀까지 나쁜 음악가와는 결국 헤어지고야 만 것이다. 줄리에타가 이런 명곡을 바칠 만한 가치가 없는 여성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베토벤은 크게 실망했고 마침내 그 유명한 '하일 리겐시타트 유서'를 쓰게 된다.

Daniel Barenboim - Beethoven, Piano Sonata No.14 Op.27-2 'Moonlight'

다니엘 바렌보임(1942~ )은 2005년 베를린에서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2곡 전곡을 2주일 동안 가진 8차례의 콘서트를 통해 연주하였습니다.

 

1800년부터 1801년 사이에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 Op.27 두 개의 작품에는 ‘환상곡 풍의 소나타’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는 소나타 형식을 버리고 환상곡 풍의 자유로운 형식을 채용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베토벤에게서 기존의 소나타 양식 혹은 피아노 스타일을 뛰어넘는 새로운 시도를 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배어 있음을 읽을 수 있다. 굳이 형식적인 측면에서 언급하지 않더라도 ‘환상곡’이라는 단어에서 기인하는 낭만주의적인 느낌만으로도 이들 작품은 충분히 직설적이고 시적이며 환상적이다.

무엇보다도 두 작품 모두 1악장이 느린 악장으로 시작한다는 것도 특이할 뿐만 아니라 이전 작품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자유롭고 서정적인 분위기, 그리고 이에 반대되는 격정적인 분위기의 대비가 인상적이다. 특히 16세의 제자였던 줄리에타 귀차르디에게 헌정한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은 그 제목에서 기인하는 분위기와 이미지 때문에 당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로부터 끊임없는 사랑을 받아왔다. 줄리에타 귀차르디에게 ‘월광 소나타’를 연주해주는 베토벤. 프리드리히 보덴뮐러의 판화. 베토벤은 1801년 11월 한 친구에게 이런 편지를 보낸다. “그녀는 날 사랑하고 난 그녀를 사랑해. 난생처음 결혼이 한 사람을 행복하게 해줄 거라는 느낌을 갖게 된 거야. 아! 그녀는 나와 다른 부류의 사람이야. 그래서 지금으로서는 정말 결혼을 할 수 없어.”

Wilhelm Kempff - Beethoven, Piano Sonata No.14 Op.27-2 'Moonlight'

20세기에 들어와서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은 개척자로서의 영예는 최초로 전곡 녹음을 남긴 아르투르 슈나벨에게 돌아갔지만, 우주와도 같이 드넓은 이들 작품에 현대적인 피아니즘에 의한 일관성을 갖춘 리리시즘, 풍부한 상상력을 불어넣은 장본인은 빌헬름 켐프(1895-1991)입니다. 그는 빌헬름 박하우스와 함께 20세기를 대표하는 베토벤 스페셜리스트의 양대 산맥이었죠. 박하우스가 독자적이고 관념적이며 낭만주의적이었던 비르투오소였다면, 켐프는 보편적이고 자연주의적이며 현대적인 감수성을 갖춘 시인이었습니다.

1악장: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독일의 시인이자 음악평론가 루트비히 렐슈타프가 베토벤 사후 5년 뒤인 1832년에 이 1악장에 대해 “달빛이 비친 루체른 호수 위에 떠 있는 조각배”라는 문학적인 비유를 한 것이 이 작품에 대한 고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어둡고 부드러운 분위기 사이로 일말의 슬픔 혹은 비탄이 언뜻 언뜻 내비치는 이 악장은 베를리오즈가 “인간의 언어로는 도저히 묘사할 길이 없는 한 편의 시”라고 표현한 바 있을 정도로 많은 예술가들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이 아다지오 악장에서 베토벤은 ‘피아노의 페달을 반드시 써서 극도의 섬세함을 표현해야 한다.’고 지시했는데, 당시의 악기 구조를 고려해볼 때 베토벤이 지시한 페달은 현대의 댐퍼 페달이 아니라 현과 해머 사이에 펠트를 껴서 소리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주는 무릎레버(현대의 우나 코르다 페달 정도에 해당하는)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 악장의 가장 큰 특징은 시종일관 일정한 리듬이 되풀이되는데, 이것은 베토벤이 도전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기 위한 대목에서 흔히 사용하는 패턴으로, 화성 또한 가슴을 서늘하게 만드는 전조로 급작스러운 색채 변화를 꾀하고 있어 마치 정지되어 있는 지점에 미묘한 격렬함을 숨기고 있는 듯한 느낌을 안겨준다. 그런 까닭에 잔잔한 호숫가에 달이 비친 느낌과 그 표현에 잔잔한 물결이 일렁이고 있는 효과를 충분히 자아낸다. 이 ‘월광 소나타’ 이전에는 이토록 묘사적인 동시에 상징적이며 시적인 느낌이 강렬한 음악은 찾아보기 힘들고, 그 이후로는 후배 작곡가들의 수많은 표제음악과 건반음악이 추구하고자 했던 가장 높은 경지의 모델이 되었다.

1악장의 환상적인 악상이 마치 달빛을 연상시킨다 하여 ‘월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2악장: 알레그레토

리스트가 “두 개의 심연 사이에 놓인 한 떨기 꽃”과 같다고 표현한 이 매혹적인 2악장은 트리오 형식의 스케르초로 특히 스포르찬도의 효과가 인상적이다.

3악장: 프레스토 아지타토

폭풍이 몰아치는 듯한 맹렬한 피날레 악장으로, 오른손의 날카로운 아르페지오와 공격적인 옥타브 스타카토의 연타가 쉼 없이 펼쳐진다. 이 악장에서도 스포르찬도가 빈번히 사용되어 빠른 템포에서도 다채로운 음향효과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전례 없는 크레셴도로 낭만주의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감정의 응축과 폭발을 표현한다. 이러한 스타일이 강하고 들끓는 듯한 아르페지오와 스타카토로 점철된 피아노 소나타는 이후 ‘열정 소나타’ Op.57의 1악장에서 다시 한 번 등장한다.


행노사-미소짱님글 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