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 상식 알고 배우기

후추 뿌려 먹는 이유 따로 있었네!

단초화 2016. 7. 8. 12:52


주부 정모(50, 女)씨는 김치찌개나 계란찜은 물론이고 라면, 떡볶이, 김밥 같은 음식에도 후추를 넣어 요리한다. “후추향이 식욕을 돋워주는 것 같아요”라며 후추에 대한 무한애정을 드러냈다.

따끈한 국밥 한 그릇이 출출한 배를 움켜쥔 퇴근길을 유혹하는 쌀쌀한 날씨다. 송송 썰어놓은 파 한 숟가락과 잘 익은 김치와 더불어 잊어서는 안 되는 또 한 가지, 바로 후추다. 국밥에는 돼지고기 냄새를 없애기 위해 넣어 먹게 되었지만, 후추 특유의 향에 매료되어 각종 음식에 후추를 첨가하여 먹는 사람도 적지 않다. 고추, 마늘, 생강과 더불어 ‘향신료’하면 빠질 수 없는 후추, 그러나 후추가 어디에 좋은지 등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후추는 어떤 음식일까?

후추는 자극적이고 향긋한 향기와 짜릿한 매운맛이 특징인 향신료이다. 향신료에 대해 저술해 놓은 책 <향신료(잘 먹고 잘 사는 법53)>에 따르면 후추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3만 톤이 생산되고 있는데, 이는 향신료 전체 생산량의 1/4을 차지하는 양이라고 한다. 가히 ‘향신료의 왕’이라 불릴 만하다.

음식에 향신료를 첨가하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향’이다. 후추의 강렬한 냄새는 육류나 생선의 냄새를 잡아서 오히려 식욕을 자극하는 냄새로 바꿔준다. 고대 로마시대의 유명한 미식가 아피시우스는 거의 모든 요리에 후추를 뿌려 먹었다고 할 정도. 우리가 국밥이나 생선요리에 후추를 넣어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후추뿐만 아니라 고추나 마늘 같은 여러 향신료들 속에 들어있는 알칼로이드 성분은 타액과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켜 준다. 그러나 이 알칼로이드 성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독이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강순아 서울벤처정보대학원 발효식품과학과 교수는 “후추에는 음식의 부패를 막아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며 “이러한 살균효과, 살충효과, 방부효과 때문에 햄이나 소시지와 같은 가공식품에 후추를 첨가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좋은 향신료임에도 불구하고, 평소 후추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이라면 ‘후추를 많이 먹으면 몸속에 쌓여 배출되지 않는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과연 사실일까?






이에 대해 강 교수는 “후추 중에 수용성이 아닌 성분이 있다”라며 “그렇지만 후추 자체가 음식에 조금씩 첨가하여 먹는 향신료이기 때문에 습관처럼 많이 먹지만 않는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라고 전했다.

후추의 종류로는 흑후추, 백후추, 적후추, 녹후추가 있다. 흑후추는 익지 않은 녹색 후추 열매를 껍질 채 햇빛에 말린 것이고, 백후추는 붉게 익은 후추를 물에 담가 붉은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이다. 우리에게 생소한 적후추와 녹후추는 각각 후추 열매가 다 익었느냐 덜 익었느냐의 차이이다. 흑후추는 스테이크나 샐러드에, 백후추는 흰색 소스나 생선요리에, 녹후추는 수프나 크림소스 등에 뿌려 먹으면 된다.

또한 가루로 되어있는 후추는 맛과 향이 금방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알갱이가 고르고 가루가 없는 통후추를 요리할 때마다 갈아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후추가 비만 억제한다       

후추 사진
후추가 유전자에 영향을 끼쳐 비만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후추에 든 피페린(식물영양소의 한 종류) 덕분이다.

후추의 비만 개선 효과를 연구한 세종대 생명공학부 엄수종 교수팀에 따르면, 후추 특유의 맛을 내는 피페린은 몸속에 들어가 지방세포가 촉진되도록 하는 물질(PPAR 감마)을 약화시킨다. 비만을 유발하는 여러 종류의 유전자(SREBP-1c, C/EBPβ, Adipsin, aP2, LPL 등)의 활동도 막는다.
유전자는 DNA와 RNA로 구성돼 있는데, 어떤 음식을 섭취하느냐에 따라 DNA가 영향을 받아 유전자의 성격이 바뀐다. 이는 다시 입맛이나 식욕 등 식습관을 결정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후추가 비만 개선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한국식품연구원 김명선 박사는 "모든 사람이 비만 유전자를 갖고 있는데, 과식을 자주 하면 칼로리 섭취량과 상관없이 비만 유전자가 활동을 해서 비만이 되기 쉽다"며 "피페린을 섭취하면 이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찌개나 국을 먹을 때 후추로 간을 해서 먹는 습관을 들이는 게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