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차와 약초 효능

천남성의효능

단초화 2015. 2. 6. 09:09

천남성의효능


Song From A Secret Garden - Secret Garden

천남성은 천남성과로 다년생 초본이며 높이 50cm 내외, 산지 숲 속 음습지에서 자란다. 땅 속의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로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로 달리고 윗부분에서 수염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구경 위의 인편은 앏은 막질이고, 원줄기의 겉은 녹색이며 때로는 자주색 반점이 있다.

높이 15∼50㎝으로 외대로 자라고 줄기는 굵고 육질이며 연한 녹색 바탕에 자주색 점무늬가 있다. 잎은 1개 달리는데 5∼11갈래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0∼20㎝ 정도의 난상 피침형,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며 보통 톱니가 있다.

암수딴그루이며 개화기는 5월∼7월로 육수화서가 정생한다. 포는 녹색이고 통 모양이며 위를 향해 피는데 끝부분이 안쪽으로 깊게 꼬부라져 있다. 수그루에는 자색의 꽃밥으로 된 작은 수꽃이 달리고 암그루에서는 녹색의 육수화서가 된다.

열매는 붉은색으로 장과로 익으며 옥수수 모양이다.

뿌리는 약간 납작한 모양의 구경으로 지름이 2∼4㎝이며 구경의 윗부분에 가는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져있다.

♠ 류마티스성 관절염 : 생뿌리를 갈아 으깨어 환부에 바르면 통증이 완화 된다.
♠ 안면신경마비 : 보드랍게 가루낸 것을 생강즙으로 개어 병난 쪽에 붙이고 찜질을 해주어도 효과가 있다.

 

예전 고서에 따르면 천남성은 중풍을 낫게 하고 담을 삭히며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몸에 있는 수분을 말리고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제거하는 동시에 경련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능과 지통의 효과도 있다. 응용되는 증상으로는 중풍, 두통, 파상풍, 종기등이 있다. 간에 풍이 침입하여 고통을 겪을 때 양호한 효능을 나타내는 약재이다.

독성정보 유독(有毒): 독성이 강한 약재중 하나인 남성은 복용시 조심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수도 있으므로 환자나 일반인들의 병증에 알맞은 가공방법을 거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량을 복용하거나 전문가와 상의없이 임의로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천남성의 효능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분류 :천남성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북동부

서식장소 :산지 습지

이명 :남성(南星), 반하정(半夏精)


주의사항 : 이 약재는 수분을 말리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음의 기운을 상하게 하고 진액을 소모시

므로 음기가 허한 사람과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또 독성이 강하므로 반드시 법제를 해야하며 규정량을 지켜야 한다.


알줄기는 거담·진경·소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중풍·반신불수·상풍·종기 등에 사용한다.

유독성 식물이다. 한국·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포가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고 세로로 흰 줄이 있는 것을 남산천남성(var. violaceum), 작은잎에 톱

니가 없고 포가 녹색인 것을 둥근잎천남성(var. typicum)이라고 한다.



효능 :예전 고서에 따르면 천남성은 중풍을 낫게 하고 담을 삭히며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

있다고 전해진다.

몸에 있는 수분을 말리고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제거하는 동시에 경련의 증상을 완화시키

는 효능과 지통의 효과도 있다.

응용되는 증상으로는 중풍, 두통, 파상풍, 종기등이 있다.

간에 풍이 침입하여 고통을 겪을 때 양호한 효능을 나타내는 약재이다.


천남성은 강한 자극이 있어서 생것을 입에 넣으면 입안이 부르트고 목안이 아린다.
유독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허약한 사람이나 임산부에게는 쓰는 것을 조심해야 하는 생약으로

한방에서는 수분대사를 시키는 거담제(祛痰劑)로 쓰고, 진통 진정제로 관절염, 신경통, 해소,

상한, 파상풍, 창종, 구토, 간질, 진경, 허리가 아픈 담에 효과가 있으며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언어장애, 안면신경마비증에도 많이 쓴다.


예전 고서에 따르면 천남성은 중풍을 낫게 하고 담을 삭히며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몸에 있는 수분을 말리고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제거하는 동시에 경련의 증상을 완화시키

는 효능과 지통의 효과도 있다.

응용되는 증상으로는 중풍, 두통, 파상풍, 종기등이 있다.

간에 풍이 침입하여 고통을 겪을 때 양호한 효능을 나타내는 약재이다.

민간요법에서도 종기 등에 많이 사용하는 풀이기도 하다.

약리실험에서도 천남성 달인 물은 항경련(抗痙攣), 진정, 진통, 거담작용, 및 항암작용을 인정하고

있다.

독성이 강한 약재중 하나인 천남성은 복용시 조심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수도 있으므

로 환자나 일반인들의 병증에 알맞은 가공방법을 거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량을 복용하거나

전문가와 상의없이 임의로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약초의 독을 없애기 위하여 생강백반탕에 남성만을 섞어 떡같이 만들어 닥나무 잎으로싸서 겉이

누렇게 된다음 볕에 말린 것(남성곡)을 만들어 쓰기도 하며 소 쓸개에 천남성가루를 넣어서 그늘

에 말려 우담남성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이 식물의 독은 희염산에 담그면 사라진다.

그러므로 사람의 위장 안에서 독성이 바로 중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의에서는 풍담을 치료하는 약. 진경약, 가래약, 이뇨약, 진통제로써 중풍, 반신불수, 구완와사,

소아간질과 경련 등에 쓴다.

파상풍, 전간에는 천마와 함께 쓴다.

뿌리 가루를 곪은데 바르면 아픔을 멈추게하고 곪지 않게한다.

피부암이나 뱀에 물린데도 쓴다.

민간약으로 곤충에 물린데 외용한다.

신경통, 류마치스, 관절염, 늑간신경통 등에

천남성, 황금, 생강 각3g, 반하, 복령, 창출 각4g, 진피2.5g, 강활, 백지, 백계자, 감초 각1.5g을

1첩으로 달여서 1일3회로 나누어 마신다.(청습화담탕)

류마티스성 관절염

생뿌리를 갈아 으깨어 환부에 바르면 통증이 완화 된다.

안면신경마비

보드랍게 가루낸 것을 생강즙으로 개어 병난 쪽에 붙이고 찜질을 해주어도 효과가 있다

천남성효능 민간요법처방

간경변증: 뿌리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간질: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거담: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건위: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경기: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구토: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5회 복용한다.

: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3~4일 복용한다.

마비증세: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사지 마비).

발한: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산증: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일 정도 복용한다.

산통: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상한병: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신경통: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요통: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씩 5~6일 복용한다. (어깨결림증, 항강).

중풍: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진경: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창종: 뿌리 15g 정도를 달여서 그 물을 5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파상풍: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해수: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정보 유독(有毒) :독성이 강한 약재중 하나인 남성은 복용시 조심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

을 일으킬수도 있으므로 환자나 일반인들의 병증에 알맞은 가공방법을 거친 것을 사용하여야

며, 대량을 복용하거나 전문가와 상의없이 임의로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가공 남성을 생으로 사용하면 옹종이나 멍울의 치료에 좋으며, 소의 씁개즙을 이용하여 가공한 우

담남성의 경우에는 습하고 건조한 남성의 효능이 감소되어 담열로 인한 풍병에 사용한다.


채집시기/산지 :가을·겨울에 채취하여 줄기와 가는뿌리 및 껍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혹

은 햇볕에 말리되 반건시 유황훈을 해서 백색이 되면 쉽게 건조된다.

또한 명반수에 담가 백색이 되면 거피해서 햇볕에 말리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국각지 고산의 음습지 수림 밑에 자생한다.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5~50cm로 외대로 자라고 굵고 육질이다.

알줄기는 편평한 공 모양이며, 주위에 작은 알줄기가 2∼3개 달리고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

으로 퍼진다.


줄기의 겉은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 반점이 있고 1개의 잎이 달리는데 5~11개의 작은잎으로

갈라진다.

그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단성화이며, 포의 통부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앞으로 구부러진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옥수수처럼 달리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화단이나 정원에 심어 관상하며, 때로는 화분에 심어 관상하면 좋다.

개화기가 길고 반그늘 조건에 잘 적응하는 식물이므로 낙엽성 교목하부의 지피식물로 적절하다.

구경에는 전분이 많이 저장되어 있으나 독성이 강하므로 식용으로는 이용할 수 없다.


塊根(괴근)을 天南星(천남성)이라 하며 약용한다.

가을, 겨울 2회에 걸쳐서 캐내 잔 가지, 鬚根(수근) 및 외피를 제거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塊莖(괴경)에는 triterpenoid saponins, 安息香酸(안식향산), 녹말, amino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燥濕(조습), 化痰(화담), 祛風(거풍), 定驚(정경), 消腫(소종),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中風痰涎(중풍담연-중풍으로 痰(담)이 가득 참),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반신불수, 癲癎(전간),

경련, 파상풍, 風痰眩暈(풍담현운), 喉痺(후비), 나력, 癰腫(옹종), 타박골절, 蛇,毒蟲咬傷(사, 독충

교상)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2.5-4.5g을 달여 복용한다. 丸劑(환제)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살포하거나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일부에서는 구경을 무공해 살충제로 이용하기도 한다.


독성 :독성이 강한 약재중 하나인 남성은 복용시 조심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

으므로 환자나 일반인들의 병증에 알맞은 가공방법을 거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량을 복용하

거나 전문가와 상의 없이 임의로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주의 :이 약재는 수분을 말리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음의 기운을 상하게 하고 진액을 소모시키므

음기가 허한 사람과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채집시기/산지 :가을·겨울에 채취하여 줄기와 가는 뿌리 및 껍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혹

은 햇볕에 말리되 반건시 유황훈을 해서 백색이 되면 쉽게 건조된다.

또한 명반수에 담가 백색이 되면 거피해서 햇볕에 말리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국각지 고산의 음습지 수림 밑에 자생한다.


가공 :천남성을 생으로 사용하면 옹종이나 멍울의 치료에 좋으며, 소의 쓸개즙을 이용하여 가공한

우담남성의 경우에는 습하고 건조한 남성의 효능이 감소되어 담열로 인한 풍병에 사용한다.

<천남성 법제 방법>

깨끗한 천남성을 찬물에 담그고 햇볕을 받지 않도록 하며 하루에 물을 2~3회 바꾸어 준다.

흰 거품이 나오면 천남성 100근에 백반 2근을 넣고 1개월간 물에 담근 후 맛을 보아 입이 저리지

않을 때까지 물을 계속 바꾸어 주고 꺼낸다.

신선한 생강 조각 및 백반가루를 함께 그릇에 몇 겹이고 빽빽이 채워 넣고 물을 잠길 정도로 넣는다.

약 3~4주일 지난 후 가마에 넣어서 속에 흰 심이 없어질 때가지 달이고 꺼내서 생강 조각을 버리

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놓고 6할 정도 말린다.

어느 정도 덮어 두었다가 둥글게 썰고 햇볕에 말린다. (천남성 60킬로그램 당 신선한 생강 조각 15

킬로그램, 백반 15킬로그램을 쓴다.)


<천남성 해독 방법>

1, 피부 중독에는 물이나 희석한 식초, 탄닌산으로 깨끗이 씻는다.

2, 잘못 먹어 중독되면 희석한 식초나 탄닌산이나 짙은 차, 계란 흰자위 등을 복용한다.

호흡이 곤란해지면 산소를 공급하고 필요할 때에는 기관 절개를 해야 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식초, 40~80그램에 생강즙 소량을 넣고 먹거나 양치질을 한다.

또는 생강 40그램, 방풍 80그램, 감초 20그램에 깨끗한 물 4사발로 반이 될 때 까지 달여서 반으로

양치질을 하고 나머지를 복용한다.


민간요법

여름에 잎이 죽어 갈 무렵 뿌리를 캐내어 잘 건조 시킨다.

이 뿌리를 잘게 자른 것 15g 정도를 물 0.7리터를 붓고 그 반량이 될 때 까지 달여서 차대용으로

조금씩 마시면 급성신염. 신장병에 특히 효과가 있다.

또 달인 즙을 마시면 4-5 시간에 대소변이 대량으로 빠져 나오기도 한다.

이 풀은 강한 독성분이 있으므로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 생 뿌리를 갈아 으깨어 환부에 바르면 통증이 완화 된다.

안면신경마비 : 보드랍게 가루 낸 것을 생강즙으로 개어 병난 쪽에 붙이고 찜질을 해주어도 효과가 있다.

담기가 목에 차올라 잘 떨어져 나오지 않고 음식을 먹을 때 잘 밀어 내리지 못하는 증상에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반하 진피 적복령 각 3.8g, 신곡 지실 천남성 각 3g, 청피 후박 소엽 빈랑

축사 각 2g, 백 두구 익지인 각 1g, 생강 세조각)을 만들어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신경통과 견비통, 무좀에 생즙을 내 바르기도 했다.

신경통, 류마치스, 관절염, 늑 간신경통 : 천남성, 황금, 생강 각3g, 반하, 복령, 창출 각4g, 진피

2.5g, 강활, 백지, 백계자, 감초 각1.5g, 을 1첩으로 달여서 1일3회로 나누어 마신다.(청습화담탕)


커피향나쉼터-심초님글 스크랩

 

'산야초차와 약초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치료약초 (만병초)   (0) 2015.02.23
그라비올라의 효능  (0) 2015.02.23
가래나무  (0) 2015.02.03
마삭줄(낙석등)의 효능   (0) 2015.01.31
만병초  (0) 2015.01.21